이번 분기 중앙거래소 재무제표 분석 시리즈의 마지막으로, 한국의 최대 거래소 두 곳인 빗썸과 업비트의 1Q22 비교분석 자료를 발간합니다.
1) 빗썸 손익계산서
A. 손익계산서
- 1Q22 빗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% 이상 하락하며 업비트와 코인베이스의 ~35%대보다 조정 폭이 높았습니다.
- 67.7% 영업이익률은 업비트의 67.4%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빗썸의 영업비용은 전년 비 24.4% “밖에” 상승하지 않은 반면 업비트는 거의 150% 상승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.
> 빗썸의 경우 인력 확충과 비용에 있어서 훨씬 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(대주주들의 매각 의사가 지속적으로 있었음).
- 영업외손익은 업비트와 유사하게 가상자산평가손실로 적자 전환했습니다(1Q22 155억 손실 vs 1Q21 930억 이익).
- 순이익은 전년 대비 약 80% 감소했음에도 이익을 유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
B. 손익계산서 비교분석 vs. 업비트
- 상단 테이블은 두나무 (업비트)와 빗썸의 1Q21 / 1Q22 손익계산서 주요 수치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- 두 회사 모두 전반적 수익이 전년 대비 큰 하락폭을 보인 가운데 절대금액 기준 업비트/빗썸의 격차는 기존 2x 이상에서 오히려 3x 이상으로 확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(표 파란 부분 참고).
- 몇 년 전으로 돌아가서 2019–2021년 수치들을 비교할 경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.
흰색: 업비트 = 빗썸
주황색: 업비트 < 빗썸
파란색: 업비트 > 빗썸
- 순이익 부문을 제외하고 빗썸은 2019/2020년 연간 기준으로 업비트보다 매출/영업이익이 비슷하거나 높은 “국내 1위 거래소” 타이틀을 갖고 있었으나 작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역전 당하며 업비트가 현재는 매출에서 순이익까지 최소 3.5x 이상 큰 기업으로 성장한 것이 특징입니다 (국내 독보적 1위)
1) 빗썸 재무상태표
A. 재무상태표
- 비록 빗썸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전 분기 대비 15.6% 감소했으나 전체 자산에서의 비중은 57%로 높은 수준입니다.
- 비유동자산 부문 급격한 상승은 1,480억원 이상의 토지 매입으로 인한 결과였습니다.
B. 재무상태표 비교분석 vs. 업비트
- 위 테이블은 두나무 (업비트)와 빗썸의 2021년말 / 1Q22 재무상태표 주요 수치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
- 빗썸은 작년 말과 지난 분기 업비트 대비 더 낮은 재무상태표 수치들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현금성 자산/자산총계/자본총계 단순 평균의 경우 이 격차는 업비트가 4x 가까이 확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(위 테이블 파란 부분 참고)
- 지난 3년 (2019–2021)에 대해 같은 식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:
흰색: 업비트 = 빗썸
주황색: 업비트 < 빗썸
파란색: 업비트 > 빗썸
- 2019년말까지 재무상태표 상 빗썸은 업비트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21년 말을 기점으로 후자가 전자 대비 4x 현금성 자산 / 3.7x 총자산 / 2.9x 자본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(“업비트의 독주”)
C. 빗썸 보유 가상자산
- 빗썸은 매우 자세하게 거래소 소유의 가상자산 종류와 금액들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(28개 종류); 금액 기준 상위 5개 외 기타로 분류하면 위에 테이블로 정리 할 수 있습니다.
- 자세히 들여다보면 1Q22에 빗썸은 총 455개의 BTC를 처분한 것으로 파악 되며 원화 기준으로는 BTC 보다 ETH를 더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또한 QTUM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가상자산들을 조금이나마 처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(유독 QTUM 보유량만 늘어난 것은 매우 특이).
- 원화 기준 BTC과 ETH 합산 금액은 빗썸 소유 가상자산 전체의 69% 수준이었습니다.
- 지금까지 공시된 정보들을 취합 시 업비트는 BTC와 ETH 중 BTC를 더 많이 소유하고 있었으며 빗썸은 ETH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.
D. 빗썸 거래소 회원 위탁 가상자산
- 빗썸의 경우 업비트와는 달리 매우 상세하게 거래소 회원들의 위탁 가상자산 내역을 공시하고 있습니다; 회사는 총 27개의 종류를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원화 기반 상위 5개와 나머지를 기타로 분류할 경우 위 테이블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
- 다음은 주요 시사점입니다:
1) BTC와 ETH의 비중은 전체 위탁 가상자산의 32% “밖에” 되지 않았음 (코인베이스의 경우 66%, 한국은 역시 알트의 왕국?).
2) XRP는 원화 기준 확고한 상위 3번째 가상자산으로 전체의 10% 이상을 차지; 또한 전 분기 대비 회원들의 XRP 보유량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
3) 빗썸의 고객 위탁 가상자산 규모 약 10.3조원($8.5bn)은 코인베이스 $246bn의 3.5% 수준 밖에 되지 않음.
> 매출 기준 1Q22 빗썸은 코인베이스의 9% 수준 / $기준 고객 위탁 가상자산은 3.5% 수준인 것으로 파악됩니다.
Written by Eric Yoo, Co-Founder at Trinito, and contributions from SungPil Huh, Head of Investment at Trinito.
#빗썸 #코인베이스 #업비트 #비트코인 #이더리움 #리플 #BTC #ETH #XRP #암호화폐 #가상자산 #중앙거래소 #CEX #디지털자산
링크
중앙화 거래소의 1Q22 재무제표 분석 시리즈:
1) At-a-glance: Upbit Q1 2022 Income Statement Highlights & [한글 버전]
2) At-a-glance: Upbit Q1 2022 Balance Sheet Highlights & [한글 버전]
3) Upbit vs Coinbase Comparison: 1Q22 Financial Statements & [한글 버전]